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상식] 경제 용어로 알아보는 상식 1

by 공곰/O_bear 2023. 3. 22.
반응형

돈 이미지

경제는 우리가 공동생활을 하는 데 사용하는 물적 기초가 되는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분배, 소비하는 활동으로

항상 우리 곁에 있어요

 

식당에 가서 밥을 먹을 때도

사고 싶은 물건을 인터넷으로 수매할 때도 

생산과 소비를 통해 경제 활동을 하고 있어요.

 

오늘 알아볼 경제 용어는

1. 기회비용

2. 환율

3. 금리

4. 희소성

 

4가지 단어에 대해 알아볼 생각이에요

주위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그냥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그냥 자주 들리는 용어라 어림잡아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공부해 보고 정확한 뜻을 알고 사용한다면 더 좋을 것 같아요

 

1. 기회비용

  기회비용은 비단 경제용어로만 사용되진 않아요. 사용하는 곳이 많이 있죠.

  기회비용에 앞서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위한 고민을 이야기하는데, 합리적인 선택이란 선택할 수 있는 내용 중 가장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선택을 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 생각해요. 그러나 큰 만족을 줄 수 있다고 해서 합리적인 선택은 아니라고 해요. 누구나 항상 부족한 자원 속에서 무언가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선택 역시 주어진 환경 또는 조건 속에서 대가를 가능한 적게 치르고 최대한으로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아무리 좋은 조건이어도 대가 즉 비용이 많이 투입된다면 그 선택으로 얻게 되는 실제 만족은 크지 않을 수 있어요. 이런 이유 때문에 큰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비용 및 기간 등 여러 가지 요건을 분석하는 작업을 선행하게 돼요.

 

기회비용 -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서 여러 가지 요건을 분석하고 비용 등을 계산하게 되는데, 이 비용이 과소평가된다면 편인이 크게 나타나고, 비용이 과대평가된다면 아무리 좋은 대안이라고 하더라도 높은 비용으로 선택되지 않을 거예요. 그래서 이러한 비용을 계산하는 건 정확해야 해요. 이때 생각하게 되는 게 기회비용이에요.

즉 기회비용은 선택에 따라 얻게 되는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사람들은 살면서 매일 매 순간 선택의 기로에 놓이고 있어요. 여기에서 우리는 둘 중 하나 또는 여러 개 중 한 개를 선택하게 되고 동시에 나머지 선택지를 포기하게 되요. 예를 들어 중국집에서 메뉴를 선택할 때 짜장면이냐 짬뽕이냐 의 선택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면 다른 한 가지를 포기하게 되는데, 이렇게 포기하게 되면서 포기한 것 들 중에 가장 큰 가치를 지닌 것을 기회비용이라 불려요. 이 가치는 실질적인 비용적 문제나 심리적 만족감 등 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보면 돼요.

 

- 여기서 기회비용이란 선택을 할 때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보면 돼요. 기회비용이 적으면 적을수록 현명하고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고 볼 수 있어요. 어떤 선택을 하게 된다면 다른 선택을 했을 때 보다 지금의 선택이 비용적이나 가치 내 기분 등 모든 요소를 고려해 높다면 좋은 선택이라 볼 수 있어요. 

 

2. 환율

환율이란 한나라의 돈과 다른 나라의 돈을 교환할 때의 비율을 뜻하는 단어예요

주로 많이 사용하는 달러 환율은 미국의 1달러를 사려면 우리나라 돈으로 얼마가 필요한지에 대한 내용이에요

금일의 원달러 환율은 1: 1306.50으로 주말을 제외한 평일 매일 이 환율은 변동하고 있어요

지금은 글로벌 정보화 시대로 외국과 관계를 맺지 않고 자국의 능력으로만 살아가는 게 불가능에 가까워졌기 때문에 다른 나라와 교류를 하기 위해 환율을 적용해서 사용한다고 해요. 환율은 각 나라의 정치,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변동을 한다고 해요. 외국인들의 투자가 많거나 투자가 적어짐에 따라..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변동이 된다고 해요

궁극적인 목적은 다른 나라와의 교류를 위해 자국 통화화 교류할 나라의 통화를 비교하여 교환할 때 비율을 따지는 것이 환율이 이예요

 

3. 금리

금리란 빌려준 돈이나 예금 등에 붙는 이자의 비율을 말해요. 즉 돈의 값어치를 말하고 있어요. 같은 의미로 이자율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빌린 원금에 지급되는 기간당 이자를 비율로 표시한 것이에요. 여기에 추가로 요즘 많이 뉴스에 나오는 기준금리가 있어요. 기준금리는 특정 국가의 정책에 따라서 대표되는 금리을 얘기해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예요. 이 기준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같이 인상되고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시중 금리도 같이 인하하게 돼요.

 

즉 금리는 돈을 빌린 기간에 대한 이자율이고 기준 금리는 나라에서 정책적으로 정하는 금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 희소성

희소성이란 드물고 적은 특성이다. 즉 부족함을 뜻한다. 세상에 어떤 사람도 원하는 것을 모두 가질 순 없다.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원하는 사람은 많기 때문이다. 부자가 된다면 원하는걸 모두 가질 수 있을까 이 부분은 아니라고 본다. 사람들은 끊임없이 부족해하고 욕구는 끝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자원은 한정되어 있어 원하는걸 다 가질 수 없고 무언가 선택하기 위해서 무언가는 포기해야 하는데서 경제문제가 발생한다. 경제 문제는 희소한 자원중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포기할지 하는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이야기한다고 한다. 희소성은 무조건 양이 적다고 희소한 것도 아니고 양이 많아도 희소할 수 있다고 한다. 찾는 사람이 많으면 양이 많아도 희소하고 찾는 사람이 없으면 양이 적어도 희소하지 않음이다.

 

생소하지 않은 단어들이고 정확한 뜻을 알 수 있게 되어 좋았어요.

조금씩 단어도 상식도 늘려갈 수 있었음 좋겠어요~

반응형